오래된 이야기/역사와전통 11

[지명] 입암면 왕심마을 지명

새터(新基) : 1970년대 후반 농촌 대규모 차관사업으로 조성된 터새터골(新基洞) : 왕심마을의 본터는 큰동네이며 서쪽방향 야산너머 조성된 곳이 새터골배나무골 : 이목동, 오얏나무골, 새터골에서 서쪽방향의 골짜기.버드네골 : 유목동, 버드나무골, 절 입구 방죽있는 부근붉은 댕이 : 왕차길(왕심리-차단길)을 따라 지선리 넘어가는 언덕, 황토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자 단곡리의 유래.웃시암골 :  큰동네 뒷산골짜기로 바위에서 샘이 솟는 곳시암고랑 : 웃시암골 윗쪽아랫시암골 : 큰동네 느티나무 아래 샘터(단곡리164-8답). 지금은 주택이 들어섰다.반송등 : 시암고랑의 능선탑골 : 지선리 순흥안씨 선영범박골 : 원천리뒷산 과거 휘기공 묘소가 있던 곳.피난골 : 임진난 때 피난했다는 골짜기. 비룡촌에서 순흥안씨 ..

[향토사] 일제강점기 조선의 일본인들

논평은 생략하고 1915년 조선총독부의 임시토지조사국이 실시한 지적도를 기반으로 전북 정읍군 입암면 일대에 정착한 일본인들에 대한 기록을 사료연구차원에서 작성한다. 표기로 분류할 때 총 44명이다. 출처 : 1915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 지적원도(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 조선총독부 전라북도조사재료(서울대 규장각 지리지종합정보) 1910년 총독부 전라북도조사재료에 따르면 당시 서일면(입암면 전 이름) 지역은 총 638호 가구, 남1,475명 여1,209명으로 총 2684명이 거주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북 948,282명 정읍군 19,564명이다.한편 1911(메이지 43년)년 10월 조사에서는 천원리에 3가구, 남2 여4명 총 6명의 일본인이 거주한 것으로 돼있다. 이같은 현황은 1915년 지적조사에..

[족보] 진안대군의 가족과 그 사위 도정공 안종렴

1. 진안대군의 가족관계1) 진안대군은 태조 이성계의 맏아들이다. 조선 왕조의 종실족보인 선원록에는 진안대군의 부인은 충주지씨이고 2남 1녀를 두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장남 이복근(봉녕부원군), 차남 이덕근(원윤), 장녀 옹주(이숙묘의 처)이다.2) 조선왕조는 조선 왕조의 족보인 선원록, 종친의 기록을 담은 종친부, 첩과 서얼을 기록한 유부록 등 3체계로 작성됐다. 3) 태종실록에는 차남 원윤 이덕근이 사망하자 이를 얼자로 언급하는 기록이 있으며 진안대군의 딸 이숙묘의 처와 안종렴의 처를 옹주에 봉한다는 기록이 있다.4) 태조대왕의 유부록을 보면 이숙묘의 처가 먼저 기록에 등장한다. 차남 원윤 이덕근은 얼자로 언급됐음에도 다른 표기 없이 장남 복근 다음에 기술돼 있다.5) 즉 진안대군은 충주지씨의 소생으..

[지방] 지방쓰는 법

지방이란 한자로 紙謗, 즉 종이에 두루 알리는 방을 뜻하며 신위를 대신하는 표식이다.즉 고인의 이름을 알리는 것이다. 비문의 묘갈과 양식이 거의 비슷하다. 지방은 과거 한자의 쓰기방식인 세로쓰기로 하며 왼쪽에서 오른쪽방향으로 쓰되 부부지방은 왼쪽부터 서열을 가르되 왼쪽이 남편, 오른쪽이 아내가 된다. 아내가 둘 이상인 경우 첫째가 먼저 왼쪽에 쓰여진다. 지방을 쓰는 종이는 신위와 같은 모양, 즉 지방문을 충분히 쓸수 있고 세로로 긴 직사각형형태로 종이를 자르고 상단의 양귀퉁이를 대각으로 살짝 잘라준다. 지방의 형식은 1) 현(顯) + 2) 상주와의 관계 + 3) 품계(관직) + 4) 성씨 + 5) 구분 순으로 쓴다. 1) 현(顯)은 고인에게 쓰는 표식으로 한자 뜻 그대로 '어서오시오''나타나시오'란 뜻이..

[마을유래] 왕심마을

1. 유래 본디 광산김씨 청주한씨 등이 기거하였다. 1700년대 중반 순흥안씨 21세 안극(屐, 자는 여명(汝命)이 후처 광산김씨와 결혼하면서 처가에 입주하면서 세거하기 시작했다.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중반까지 80호 가까이 번성했으나 현재는 30여호 정도가 남아있고 실거주하는 순흥안씨 후손들은 17~8여호정도이고 나머지 10여호는 타지에서 전입해온 주민들이다.구한말 흥덕현 서일면 성신리였다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시 정읍군 입암면 왕심리로 변경됐다.왕심이라고 지은 이유에 대해서는 연원을 알 수 없다.일설에 1) 왕심리는 조선시대 정읍군 서일면 성신리(誠信里)였다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때 왕심리로 바뀌었다고 한다. 하지만 1899년 7월 12일 기해봉기 주모자 최영두의 심문조..

금석문 해석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한자를 배우고 싶어하면서도 가끔 오래된 문서나 금석문을 대할 때면 배우기 싫어진다. 지배계급의 언어이면서도 민중은 함부로 배우지 못하게 한 언어라는 흔적들이 많기 때문이다. 부수가 많아서 쓰기 어려워 간체자를 하는 것은 이해한다 해도 서체의 모양에 따라서 확연하게 달라지는 글자나 심지어는 원형을 파괴하고 기호에 가까운 파자를 사용하는 것을 보면서 그러하다. 특히 한글을 쓰는 우리나라의 금석문들 가운데 구한말을 전후해 '파자'쓰기가 유행했다하니 인터넷의 발달로 인터넷 용어를 쓰는 것처럼 후세인들은 알길이 없는 황당한 글자들이 많아서 당황스럽다. 한자의 단어를 검색하는 사이트는 많으나 아직까지는 한자를 번역해주는 사이트는 없는게 아쉽다. - 그냥 한자사전 http://www.zonmal.com/ - 유니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