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안씨 족보 : 순흥 시조공 10세설로 내놓은 세보와 다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광주안씨[廣州安氏] 작자 연대 미상 이 족보에는 광주 안씨에 내려오는 충주 김씨 집안서 가져왔다는 구보의 내용과 다르다. 광주안씨의 세보가 시조공 방걸 - 유 - 지 등으로 돼 있다. 어디에도 그 구보에 전하는 이름들은 발견할 수 없다. 카테고리 없음 2009.05.19
시조가 안준? (구)죽산 안씨 기록 한국학중앙연구원 죽산안씨세계 [竹山安氏世系] 1冊(10張);12.6×15.5㎝ 작자 미상 연대 미상 시조공이 安濬이라 돼 있음. 카테고리 없음 2009.05.19
자미공의 기록 - 순흥안씨 족보 1912 한국학 중앙연구원 순흥안씨족보 [順興安氏族譜] 3卷1冊:四周單邊,半郭24.9×17.5m,10行24字,上下二葉花紋魚尾;33×21m 작자 안우석(조선)등편 1912 카테고리 없음 2009.05.19
순흥 시조공이 광주 10세손이라는 순흥문의 족보 한국학중앙연구원 順興安氏世譜抄 형태서지: 不分卷1冊;35×22.3m 인기: 안재향(조선)편 1871~1871 카테고리 없음 2009.05.19
광주안씨 1900년대 초 족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료를 보니 재밌는 자료가 많다. 앞으로 많은 역사기록들이 디지털 아카이브에 등록되고 번역돼 서비스 되길 바라는 맘이다. 광주안씨대종변정록 [廣州安氏大宗卞正錄] 不分卷1冊:四周雙邊,半郭23.2×17㎝,10行20字,上下二葉花紋魚尾;32.1×21.3㎝ 안효진편 大正11(1922) 광주안씨 역사.. 카테고리 없음 2009.05.19
순흥안씨 분적설 주장에 대한 오류 지적 순흥안씨가 광주안씨에서 분적했다고 주장하는 글이 여기저기 난무하고 있다.(광주안씨가 이 논란을 주도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아니니 광주안씨라는 글자만 보고 흥분하는 소인배는 없길 바라며) 이글은 안씨 5본(순흥 광주 죽산 신죽산 탐진)간 일고 있는 뿌리 논란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위해 작성.. 카테고리 없음 2009.05.18
순흥안씨의 유래와 역사 순흥안씨의 유래와 역사. 1) 광주안씨(光州安氏)의 주장. 가. 을유보에는 방걸-국신(문하시중)- 여중(문하시랑)-보평(내사시랑)-헌사(첨의중찬)-무성(평장사)-경립(참지의사)-석창(중서령)-필몽(내시령)-홍미(문하시중):자미(호군공)이라 돼 있다는 구전, 현존 기록이 없음. 나. 족보인 1739년 [경인보] 광주.. 오래된 이야기/역사와전통 2009.05.06
일반시제축문 축문이란 무엇인가. 축문 祝文 이란 말 그대로 '비는 글' 기원문으로도 표현할 수 있다. 제사를 지낼 때 조상에게 아뢰는 글이다. 그러니 축문의 쓰이는 한자를 어려워할 필요도 없다. 코미디 소재로 쓰이는 국민학교 교장 선생님 훈화말씀에 자주 등장하는 '녹음이 짙고 산새들이 우는...' 식의 도입부가 바로 축문이다. 인터넷이 없던 시절에 편지를 쓸 때도 처음에 등장하는 말은 계절인사였다. 글을 쓸 때 글을 쓰는 계절, 시와 장소가 어딘가를 밝히는 것이 보편적인 글쓰기 가운데 운문이다. 그래서 축문은 한편의 시라고 할 수 있다. 축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계절의 특징과 시간적 특징이 고스란히 베어 있으니 굳이 어렵고 모르는 한자를 쓰려고 노력할 필요는 없다. 그냥 하늘이 높고 푸르며 나무와 풀들의 색상이 진하.. 오래된 이야기/생활건강 2009.03.13
KBS광주 특집 5.18 20주년 5부작 다큐멘터리 제작기간 : 1999년 10월 - 2000년 5월 총 8개월 방영일시 : 2000년 5월 16일(1부), 5월 17일(2부), 5월 18일(3,4,5부) 지역 로컬로 방영됨. 연출 : 정현동 프로듀서 구성 : 박수진 박은영 기획 : KBS광주총국 [오월항쟁] 제1부 - 항쟁 [오월항쟁] 제2부 - 무장 [오월항쟁] 제3부 - 학살 [오월항쟁] 제4부 - 해방 [오월항쟁] 제5.. 오래된 이야기/내삶의흔적 2008.01.23
9월 18일 문국현 일정.....로이터 통신사 인터뷰 - 2007.09.17 (월) - 문국현 제17대 대통령선거 예비 후보는 18일 오전 10시 소공동 롯데호텔 3층 사파이어룸에서 열리는 제1회 “사람중심 뉴패러다임” 전문가 정책 심포지엄 및 “사람입국” 지지선언에 참석한다. 이번 행사는 깨끗하고 따뜻한 번영을 염원하는 대학교수와 각계의 전문가 100여명이 모여 .. 카테고리 없음 2007.09.18